약소국에게 중립외교가 가능할까? 광해군 ‘밀지항복설’의 진실
광해군은 역사에서 파란만장한 평가를 받은 왕이다. 과거에는 형제를 죽이고 어머니(인목대비)를 쫓아낸... 조선은 명의 요구를 거절할 수가 없어서 1만이 넘는 군대를 파병하지만 광해군이 강홍립에게 밀지를 보내 후금과...
2019-11-25 16:10:00광해군 - 2019.11.26 |
목록 |
광해군은 역사에서 파란만장한 평가를 받은 왕이다. 과거에는 형제를 죽이고 어머니(인목대비)를 쫓아낸... 조선은 명의 요구를 거절할 수가 없어서 1만이 넘는 군대를 파병하지만 광해군이 강홍립에게 밀지를 보내 후금과...
2019-11-25 16:10:00조선 제15대 임금이었지만 한순간 유배인의 신분으로 추락한 광해군의 '광해군일기(국보 제151-4호)'를 비롯해 사대부였던 김정의 '충암집', 송시열 초상화와 글씨, 의병장 '최익현 초상(보물 제1510호)', 조선 말기...
2019-11-25 16:04:00선조에서 광해군, 인조를 거치는 38년간, 중국 대륙에선 명과 청의 운명이 바뀌고 있었지만, 우리는 반정과 내란을 반복하며 아무런 대비를 하지 못했다는 겁니다. --- [흔들리는 날엔 말리꽃 향기를 따라가라 / 재연...
2019-11-25 12:39:00그의 일대기를 그린 ‘조선 로코-녹두전’은 광해군 시절이 배경이다. 아기 때 아버지 광해군(정준호 분)으로부터 버림받은 녹두는 출생의 비밀을 파헤치지만, 이는 권력을 위해서가 아니다. 불안에 떨며 왕위에만...
2019-11-22 00:09:00거기에 광해군, 인조의 이름이 거명된다. 광해군은 성공한 반란에 쫓겨난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이 실패한 군주였으며, 인조는 ‘왕만 바뀌었을 뿐 변하지 않은 조선’의 군주였다는 것이 저자의 시각이다. 그 시각의 옳고...
2019-11-21 20:38:0035살 때인 1590년(선조 22년) 정여립(1546~1589)의 난을 처리한 공로로 평난공신 3등에, 1613년(광해군 5년) 임진왜란 때 광해군(재위 1608~1623)을 호종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 1등에, 임해군(1572~1609) 역모사건 처리 공로로...
2019-11-21 09:16:00광해군 9년(1617)에 승주부사 이수광이 비문을 지어 중건(重建)한 것이다. 이 비석은 본래 고려 말에 세워졌으나 왜란 중에 망실됐다. 훗날 고을 사람들과 함께 비석을 다시 세운 이수광은 ‘지봉유설’의 저자이기도 했다....
2019-11-22 05:10:00이에 1613년에는 임진왜란 때 광해군 호종에 공을 세운 위성공신(衛聖功臣) 1등, 임해군 역모 처리와 관련해 익사공신(翼社功臣) 2등, 김진재 옥사 처리에 기여한 형난공신(亨難功臣) 2등에 각각 임명됐다. 그에 앞서...
2019-11-21 08:57:00전임자였던 광해군이 절실했던 그 균형외교를 펼쳤기 때문이죠. 하지만 서인들은 균형외교를 명에 대한 의리를 저버린 불충으로 보았습니다. 이를 구실로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습니다. 바로 ‘인조반정’이었죠....
2019-11-21 21:18:00왕 광해군이 인왕산 아래에 지으려 했던 인경궁 건설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배수로가 서울 종로구 서촌에서 발견됐다. 인경궁은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끝내 건설되지 못했다. 15일 <한겨레>가...
2019-10-15 14:54:00